티스토리 뷰
목차
대학 입시에서 논술 전형은 단순한 암기식 학습이 아닌, 사고력·비판적 분석 능력·글쓰기 실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중요한 전형입니다. 따라서 학생들은 교과서의 지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도서를 접하면서 사고의 폭을 넓히는 훈련이 필요해요.
특히 문과와 이과 계열 별로 요구되는 배경 지식과 사고력의 범위가 다르기 때문에, 맞춤형 독서 전략이 요구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문과, 이과로 나누어서 논술 전형 대비에 도움이 되는 추천 독서 목록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문과 계열 독서 추천 목록
문과 논술은 철학, 사회학, 역사학, 문학 등을 바탕으로 인문적 통찰을 요구하는 문제가 자주 출제됩니다. 따라서 학생들은 비판적 사고와 논리적 글쓰기를 기를 수 있는 고전 및 현대 교양서를 함께 읽는 것이 좋습니다.
- 철학·사상 : 플라톤 『국가』,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칸트 『순수이성비판』 요약본
- 사회·정치 : 존 롤스 『정의론』, 조지 오웰 『동물농장』, 한나 아렌트 『전체주의의 기원』
- 경제·경영 : 애덤 스미스 『국부론』 발췌본, 칼 폴라니 『거대한 전환』
- 역사·문화 : 유발 하라리 『사피엔스』, 자크 르고프 『중세 문명』
- 문학 : 조지 오웰 『1984』, 카프카 『변신』, 카뮈 『이방인』
2. 이과 계열 독서 추천 목록
이과 논술은 과학적인 원리와 수리 논리를 바탕으로, 인문·사회 문제와 접목하여 사고를 확장하는 문제가 출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기초 과학 이해와 더불어 과학철학 및 과학기술의 사회적 영향을 다룬 책을 읽으면 효과적입니다.
- 과학철학 : 칼 포퍼 『과학적 발견의 논리』, 토머스 쿤 『과학혁명의 구조』
- 물리학 : 스티븐 호킹 『시간의 역사』, 리처드 파인만 『파인만의 물리학 강의』 발췌본
- 생명과학 : 제임스 왓슨 『이중 나선』, 리처드 도킨스 『이기적 유전자』
- 수학·논리 : 버트런드 러셀 『수학의 원리』 발췌본, 한스 마그누스 엔첸스베르거 『수학의 유혹』
- 융합과학·교양 : 브라이언 그린 『우주의 구조』, 재레드 다이아몬드 『총, 균, 쇠』
3. 요약
정리하면 대학 입학의 논술 전형 대비를 위해서는 단순히 책을 많이 읽는 것에서 그치지 말고, 읽은 내용을 비판적으로 요약하고 자신의 언어로 재구성하는 연습이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문과 학생들은 인문·사회적 문제의 본질을 이해하는 통찰력을, 이과 학생들은 과학적 사실을 사회적 맥락에서 바라보는 융합적 사고를 키워야 합니다. 위에 언급한 추천 도서 목록을 토대로 꾸준히 책 읽는 습관을 만들면 논술 전형 준비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대학 & 입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부모 부담 경감 장학금 제도 총정리 (0) | 2025.10.04 |
---|---|
학부모라면 꼭 알아야 할 '교육청' 지원 정책 (0) | 2025.10.03 |
이재명 정부의 8대 교육 공약 핵심 내용 (0) | 2025.10.02 |
대학입시 정시 및 수시 비율 변화 분석과 전략 (0) | 2025.10.01 |
고교학점제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0) | 2025.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