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세계적인 권위의 언어학자들은 다양한 언어 이론, 문법 구조, 의미론, 음운론, 사회언어학 등에서 영향력 있는 업적을 남겼어요. 다음은 특히 유명한 언어학자 다섯 명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1. 노엄 촘스키(Noam Chomsky)
노엄 촘스키는 1928년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출생했어요. 그의 아버지도 언어학자였는데, 히브리어 문법 연구자였죠. 집안 자체가 언어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촘스키는 십대 시절부터 히브리어와 고전 문법에 흥미가 있었고, 그는 "아이들이 이렇게 복잡한 문장을 어떻게 배우는 걸까?"라는 의문을 가지고 인간이 언어를 타고난 능력으로 배우는 것 같다는 생각을 품게 되었다고 합니다.
유명한 에피소드 중 하나로, 1957년에 촘스키는 기존 언어학이 "언어를 설명하지 못한다"라는 비판 아래 ‘통사 구조(Syntactic Structures)’라는 책을 출간해요. 그 당시엔 매우 충격적인 이론이었지만, 이 책으로 그는 현대 언어학의 패러다임을 바꾸었습니다. 재미있는 포인트 중 하나는 촘스키는 언어학자이지만 정치학에도 깊이 관여해서 ‘가장 인용이 많이 된 지식인’이면서 CIA 비판서도 낸 인물로 유명하죠.
정리하면, 노엄 촘스키는 생성문법, 심리언어학, 정치비평을 전공으로 했고, 그의 업적으로는 단연 생성문법(Generative Grammar) 창시자라는 점을 꼽을 수 있습니다. 그는 인간은 언어 능력을 ‘타고난 생물학적 구조’로 설명한 보편문법(Universal Grammar) 이론을 제안했죠. 그래서 촘스키는 현대 언어학의 방향을 결정지은 인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2. 윌리엄 래보브(William Labov)
윌리엄 래보브는 원래 화학을 전공했는데, 성우로 활동하던 중에 사람들의 발음을 분석하면서 언어에 흥미를 가지게 되었다는 독특한 이력을 가지고 있어요. 그 직접적인 계기는 래보브가 뉴욕의 한 슈퍼마켓에서 계층에 따라서 ‘r’을 발음하는 방식이 다르다는 것을 발견한 거죠. 그래서 그는 “언어는 계급을 드러내는 사회적 현상”이라는 인식을 갖게 되었다고 해요.
그리고 또 하나의 에피소드로는 1960년대,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영어가 문법이 없는 언어가 아니라 자체 규칙이 있는 완전한 언어라는 사실을 밝혀내죠. 이로써 그는 교육계의 편견을 바로잡는 데 기여합니다. 즉, 래보브는 "언어는 책이 아니라 사람들 입 속에서 살아 있다.“라는 사실을 증명한 셈이에요. 래보브는 사회언어학(Sociolinguistics)의 창시자이자 “언어는 살아 있는 문화”라는 생각을 퍼뜨린 인물이라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윌리엄 래보브는 사회언어학과 방언학을 전공했고, 현대 사회언어학의 창시자로 평가받아요. 그는 언어의 변화와 사회 계층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는데 특히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영어에 대한 연구로 주목받았습니다.
3. 스티븐 핑커(Steven Pinker)
스티븐 핑커는 캐나다 출신의 심리학자로, 어릴 때부터 SF 소설, 뇌, 사고, 그리고 인간의 본능에 대해서 큰 관심을 갖고 있었다고 합니다. 그는 인간의 마음을 이해하려고 하다 보니 언어에 관심이 닿았고, 언어는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인간 사고 자체를 반영한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죠.
스티븐 핑커는 1994년에 ‘언어 본능(The Language Instinct)이라는 책을 썼는데, 촘스키의 영향을 받았지만 일반 독자들도 이해할 수 있도록 언어 이론을 잘 설명했어요. 그는 “언어는 인간 본성의 창”이라고 생각했죠. 그래서 이 책은 세계적으로 언어학 입문서로 널리 읽히게 되었어요. 특히, 스티븐 핑커는 매끄러운 글솜씨로 인해 ‘언어학계의 셀럽’이 되었고, 언론과 TED에도 자주 나옵니다.
정리하면, 스티븐 핑커는 심리언어학, 인지과학을 전공했고, 언어와 사고, 진화심리학을 연결한 설명으로 대중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언어학자입니다. 그는 자신의 저서 ‘언어 본능’에서 인간 언어가 진화의 산물이라는 주장으로 더 유명해요.
4. 데보라 태넌(Deborah Tannen)
데보라 태넌은 미국 출생의 언어학자로, 어릴 적에 엄마와 아빠가 말싸움 할 때마다 늘 “(엄마 아빠는) 왜 똑같이 말해도 서로 이해를 못하는 거지?”라는 궁금증이 있었다고 해요. 무엇보다 그녀는 남녀의 대화 방식을 비교 분석하면서 본격적으로 언어가 관계 형성에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연구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해요. 즉, 데보라 태넌은 “말은 다 같은 말이 아니다. 남자와 여자의 언어는 다르다.”고 생각한 거죠.
그녀는 ‘You Just Don’t Understand‘라는 책으로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었으며, 여성과 남성의 언어 습관 차이를 밝혔습니다. 그녀의 이런 연구로 “남편은 해결책을 말하고, 아내는 공감을 원한다”라는 식의 대화 분석이 유명해졌어요.
정리하면, 데보라 태넌은 담화 분석, 젠더와 언어를 전공했고, 남성과 여성 간의 의사소통 차이를 분석한 연구로 유명하며, ‘You Just Don’t Understand’와 같은 대중적인 책을 다수 썼어요.
5. 마이클 할리데이(M.A.K. Halliday)
마이클 할리데이는 영국 출신의 언어학자로, 중국어에 관심이 많아서 젊은 시절에 중국에서 언어를 공부했으며, 실제 언어 사용 방식에 주목했습니다. 그는 “언어는 기능이다. 쓰는 맥락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고 여겼어요. 즉, 그는 문법을 딱딱한 규칙이 아니라 의사소통의 도구로 봐야 한다고 주장했죠.
그래서 할리데이는 체계기능 언어학(SFL: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을 만들어서 교육과 언어지도에 실질적인 영향을 주었습니다. 예컨대, 아이가 어떻게 문장을 확장하는지를 분석해서 교육 커리큘럼에도 반영한 거죠. 할리데이는 ‘문법은 창의적인 도구’라는 생각을 널리 알린 학자입니다.
정리하면, 마이클 할리데이는 기능언어학을 전공했고, 체계기능언어학을 창시해서 언어를 사회적 기능으로 해석했다는 업적을 남겼어요.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다섯 명의 언어학자들의 공통점은 “언어는 단지 말의 기술이 아니라, 인간 존재와 사회를 들여다보는 창”이라는 관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글에서 소개한 언어학자들이 쓴 대표적인 책이나 강연은 유튜브나 TED에서도 접할 수 있어요.
[ 이전 글 보기 ] AI 시대 중,고등학생 맞춤 온라인 교육법 및 추천 플랫폼
AI 시대 중,고등학생 맞춤 온라인 교육법 및 추천 플랫폼
인공지능(AI) 기술의 발달로 교육 방식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중,고등학생들은 단순한 온라인 강의를 넘어서 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AI 기반 맞춤형 학습, 스마트러닝 도구 및 학습
white-tiger.co.kr
'언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시대 중,고등학생 맞춤 온라인 교육법 및 추천 플랫폼 (0) | 2025.02.21 |
---|---|
영어 이름 만드는 방법! 나에게 딱 맞는 이름 짓기 (0) | 2025.02.18 |
좋은 이름 짓는 법 (작명 꿀팁 & 무료 어플 & 개명) (0) | 2025.02.15 |
국가별 속담 비교 분석-10. 일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영어 속담과 예문' (1) | 2025.02.12 |
중국 vs 일본의 속담 비교 분석-9. 성공, 복수, 우정에 관한 속담 (0) | 2025.02.11 |
- Total
- Today
- Yesterday
- 인공지능 #인공지능의 핵심 기술 #언어 정보 처리 기술
- 한국 언어학 올림피아드 #신청 절차 #문제 유형 #준비 전략
- 언어의 역사성 #에스놀로그 #현존하는 언어 #원형 언어
- 침팬지의 의사소통 실험 #구아 #비키 #사라 #님 침스키
- 로지반 #토키 포나 #이쓰쿠일 #링코스 #프로그래밍 언어
- 예술어 #퀘냐 #신다린 #클링온어
- 언어 모방 능력자 앵무새 #밤색머리 꼬리치레 #회색 앵무새 알렉스
- 세계 top 10 언어학과 대학교
- 동물의 의사소통 #개미의 언어 '페로몬'
- 솔레솔 #인테르링구아 #링구아 프랑카 노바 #인공어
- 인공어 제작 #zompist
- 베르니케 영역 #베르니케 실어증 #브로카 영역 #브로카 실어증 #
- 영화 her #인공지능과 인간의 대화 가능성
- 보노보 칸지 #새비지-럼보
- foxp2 #언어 유전자
- 인공어 #에스페란토 #우니쉬
- 언어와 속담
- 님 침스키 #버윅 #촘스키
- 각국의 속담 비교
- 아즈텍 개미
- 언어 상대성 #언어 결정론
- 국제 언어학 올림피아드
- 칼 폰 프리쉬 #꿀벌의 춤 #스티븐 로저 피셔 #언어의 역사
- 국가별 속담 비교 분석
- 동물의 의사소통 #오랑우탄 찬텍 #고릴라 #와쇼 #코코
- 국가별 속담 비교
- 언어와 문화 #문화적 다양성 #윌리엄 라보프 #바질 번스타인
- 아프리카의 속담
- 동물의 의사소통 #침팬지 #노암 촘스키 #님 침스키 #하버트 테라스
- 사랑 우정 돈에 관한 속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